차곡차곡 성 쌓기
article thumbnail
[알고리즘] 벨만-포드(Bellman-Ford) - Java
CS/알고리즘 2024. 2. 7. 23:47

벨만-포드 알고리즘 벨만-포드 알고리즘 한 정점에서 다른 모든 정점간의 최단 거리를 구하는 알고리즘이다. 특징 • 음의 간선을 포함하는 그래프에서 사용한다. • 음의 사이클의 존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시간 복잡도 • O(VE) - V : 정점의 개수 E : 간선의 개수 주요 아이디어 노드의 수가 N개일 때 N-1번 동안 모든 Edge를 탐색하면서 최단 경로를 구한다. 그러므로 시간 복잡도가 O(VE)이다. 아무리 멀리 떨어진 노드라고 할지라도 N-1개의 간선을 지나면 어떠한 노드라도 도달할 수 있다. 그래서 벨만 포드 알고리즘은 보통 N-1번만큼 반복하여 최단경로를 알아낸다. 또한 벨만 포드 알고리즘은 주로 음의 사이클 존재 여부를 판단할 때 더 많이 쓰인다. 이때는 N번만큼 반복하며 N번일 때 최단..

article thumbnail
자바 #4 - 객체지향 언어의 특징
CS/자바 2024. 2. 7. 16:51

객체 지향언어 객체 세상 모든 것이 객체로 이루어진다. (TV, 냉장고, 컴퓨터, 사람...) 실세계 객체의 특징 객체마다 고유한 특성(state)와 행동(behavior)를 가짐 다른 객체들과 정보를 주고 받는 등, 상호작용하면서 존재 객체 지향 언어의 목적 ▶︎ 소프트웨어 생산성 향상 컴퓨터 산업 발전에 따라 소프트웨어 생명주기가 단축됨 상속, 다형성, 객체, 캡슐화 등 소프트웨어 재사용을 위한 여러 장치가 내장됨 ➞ 재사용, 부분 수정 용이. 다시 만들 필요 없음 ▶︎ 실세게에 대한 쉬운 모델링 실세계에서 발생하는 일을 프로그래밍하기 때문에, 절차나 과정보다 물체들의 상호작용으로 묘사하는 것이 용이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과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 작업 순서 표현 작업을 함수로..

article thumbnail
자바 #3 - 자바의 배열과 예외 처리
CS/자바 2024. 2. 4. 23:55

배열 배열은 인덱스(index)와인덱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들로 이루어진 연속적인 자료 구조로서, 같은 종류의 데이터들이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자바에서의 배열 생성은 C/C++와 달리 2단계로 이루어진다. 배열에 대한 레퍼런스 변수 선언 배열 생성 - 배열의 저장공간 할당 1. 배열에 대한 레퍼런스 변수 선언 int intArray []; 배열 공간을 할당되지 않으며 레퍼런스 변수 intArray만 생성된다. intArray는 배열 공간에 대한 주소 값을 가지며 그 자체가 배열은 아니다. 이때 intArray의 값은 null이다. 이처럼 배열 주소를 레퍼런스라고 부르며, 주소값을 가지는 변수를 레퍼런스 변수라고 한다. 2. 배열 생성 배열 생성은 데이터를 저장할 배열 공간을 할당받는 과정이다. 반드시 new..

자바#2 - 자바의 데이터 타입과 입력
CS/자바 2024. 2. 4. 22:58

자바의 데이터 타입 ▶︎ 기본 타입 (8가지) 기본 타입의 크기가 정해져 있다 자바는 플랫폼 독립적인 언어이므로 모든 플랫폼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데이터의 크기가 항상 일정하다. 하지만 C인 경우 CPU의 처리 능력이나 운영체제에 따라 데이터가 차지하는 메모리 크기가 다르다. int형이 2바이트 일수도, 4바이트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논리 타입 : boolean 1비트. JVM에 따라 1비트가 아닐수 있다. 문자 타입 : char 무조건 2바이트, Unicode 사용 Unicode는 최대 4바이트까지 표현될 수 있지만 UTF-16 인코딩 방식을 사용하여 2바이트로 표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수 타입 : byte 1바이트, -128 ~ 127 정수 타입 : short 2바이트 정수 타입 : int 4..

article thumbnail
자바#1 - JAVA의 시작 (JAVA의 태동과 특징)
CS/자바 2024. 2. 3. 14:32

본 포스팅은 '명품 JAVA Programming (개정4판)- 황기태 저' 책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프로그래밍 언어 기게어 어셈블리어 고급언어 - JAVA 언어의 진화 기계어 ➞ 어셈블리어 ➞ Fortran(수학 전용 언어) ➞ C ➞ C++ C 언어 왜 생겼을까? (1972) 유닉스라는 운영체제를 개발하기 위해 만든 언어 : 절차 지향 언어 시대 C++ 왜 생겼을까? (1983) PC가 생기면서 규모가 커져 만들고 관리하는 것이 너무 힘들어짐. 객체 지향언어 시대 JAVA 왜 생겼을까? (1995) 나온 이유 : C++의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 (어떤 문제인지 아래에서 기술) C++의 모양을 빌어 등장. 조상이 C++이다 컴파일 방식 자바 : .Java ➞ .class (링킹 과정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