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s3Cj2%2FbtstCDWSShQ%2Fg4AQJiF06z5s6FeXeveSG0%2Fimg.png)
문제 4358번: 생태학 프로그램은 여러 줄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 줄에 하나의 나무 종 이름이 주어진다. 어떤 종 이름도 30글자를 넘지 않으며, 입력에는 최대 10,000개의 종이 주어지고 최대 1,000,000그루의 나무가 주어 www.acmicpc.net 문제 접근 1초의 시간이고, 입력 케이스의 최대는 백만개이므로 최대 O(nlogn) 알고리즘으로 풀어야 겠다고 생각했다. 중복값 입력이 허용되고 그 중 전체 나무 중 차지하는 비율을 찾아야 되기 때문에 한 번 루프가 끝났을 때 그 나무가 나온 횟수를 찾아야 된다고 생각했다! 또한 문제의 핵심은 중복되는 자료가 나왔을 때 얼마나 빠르게 찾아 값을 변경 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찾는 것에 시간 복잡도가 O(1)인 해쉬맵을 이용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문제 ..
![articl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PwHiB%2FbtssbBfTqIn%2FVVSSqmTjJkRopCP9h0XmkK%2Fimg.webp)
문제 13023번: ABCDE 문제의 조건에 맞는 A, B, C, D, E가 존재하면 1을 없으면 0을 출력한다. www.acmicpc.net 풀이 과정 문제의 조건을 봤을 때 A-B-C-D-E 인 관계를 찾으면 되는거라서 탐색을 했을 때 깊이 5까지 파고드는 관계를 찾으면 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DFS를 이용하였고, 재귀함수를 호출할 때마다 깊이를 1씩 더해주어 깊이가 5가 됐을 때, '찾았다' 라고 표시했다. 하지만 '틀렸습니다.'만 떴다! ㅠ 아직 갈 갈이 멀다. 답이랑 비교했을 때 틀린 점은 2가지가 있었다. 틀린이유 1 : 탐색의 시작을 0번째만 하려고 했다는 것. // 내가 짠 코드 DFS(0, 1); // 답 for(int i=0; i
![articl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i8avN%2FbtssgF82fen%2FUUqOgcsiwLLJEKYlQyrLKk%2Fimg.jpg)
문제 2023번: 신기한 소수 수빈이가 세상에서 가장 좋아하는 것은 소수이고, 취미는 소수를 가지고 노는 것이다. 요즘 수빈이가 가장 관심있어 하는 소수는 7331이다. 7331은 소수인데, 신기하게도 733도 소수이고, 73도 소수 www.acmicpc.net 풀이 방법 신기한 소수가 되기 위해서는 왼쪽부터 1자리, 2자리, 3자리, 4자리 모두 소수여야 한다. 즉 1자리 부터 소수가 아니면 검사할 필요가 없기에 점점 깊이 파고 드는 재귀함수를 써야 한다고 생각 헀다. => DFS가 적당! 재귀 함수의 깊이가 입력 받은 자릿수가 되면 그 수는 신기한 소수이다. 내가 생각한 알고리즘은 밑과 같았다. 1. 1~9까지 i가 소수이면 findInterestDemical 함수를 호출한다. 인자는 num과 자릿수..
![articl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TZPaz%2FbtsshrQb7OX%2FgNmhfriRDSzmaQ4L7DLJt1%2Fimg.jpg)
문제 10989번: 수 정렬하기 3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1 ≤ N ≤ 10,0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수가 주어진다. 이 수는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www.acmicpc.net 접근 방법 수의 개수 제한은 천 만으로 많은 편에 속하지만 수의 크기는 만으로약 4자릿수가 최대. 이때는 자릿수에 따라 시간 복잡도 결정되는 기수 정렬이 좋은 방법. 기수 정렬 기수 정렬 값을 비교하지 않는 특이한 정렬으로 자릿수를 정한 다음 해당 자릿수만 비교한다. 기수 정렬의 시간 복잡도는 O(kn)으로, 여기서 k는 데이터의 자릿수를말한다. 기수 정렬 알고리즘 10개(0~9)의 큐를 이용하여 값의 자릿수를 대표한다. 일의 자릿수부터 10개의 큐에 넣어가며 정렬을 한다. 큐..
![articl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FLi2X%2FbtsrS2J0LxZ%2FkG3KmAmulbj7MT6deHgZv0%2Fimg.jpg)
문제 1517번: 버블 소트 첫째 줄에 N(1 ≤ N ≤ 50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N개의 정수로 A[1], A[2], …, A[N]이 주어진다. 각각의 A[i]는 0 ≤ |A[i]| ≤ 1,000,000,000의 범위에 들어있다. www.acmicpc.net 접근 방법 버블 정렬의 이동은 한 번에 한칸씩만 이동할 수 있다. swap의 횟수를 찾기 위해서는 부분 리스트가 1개가 될 때까지 쪼개고 점점 합병해가면서 합치는 합병 정렬이 알맞다고 생각했지만 합병 정렬은 가까운 요소끼리 먼저 정렬을 하기 때문에 기준 요소와 모두 비교를 진행하고 swap하는 버블 정렬과는 다른 결과가 나올 것이라 생각했다. 책을 보며 풀이법을 봤지만 사실 아직도 이해가 안간다. 버블 정렬은 현재 위치가 정렬이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