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pXld7%2FbtsDZW7kW8r%2FK0GJJLHSa6hqhFzQhmw2xk%2Fimg.png)
본 카테고리는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강민철 저)" 책과 강의를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ALU CPU의 핵심 부품 중 하나로 연산을 담당하는 부품이다. ALU에서 연산을 하기 위해서는 피연산자와 수행할 연산이 필요하다. ▶︎ 받아들이는 정보 제어 장치, 레지스터 ➞ ALU 제어 장치 : 제어 신호 보냄 레지스터 : 피연산자 보냄 ▶︎ 내보내는 정보 ALU ➞ 레지스터, 플래그 레지스터 빠르기 때문에 메모리가 아닌 레지스터에게 보낸다. 레지스터 :결과 값 플래그 레지스터 : 연산 결과에 대한 부가 정보 (ex: 양수, 음수 플래그, 범위 오버) 플래그 레지스터 : 플래그의 종류 부호 플래그 : 연산한 결과의 부호를 나타낸다. 제로 플래그 : 연산 결과가 0인지 나타낸다. 캐리 플래그 :..
![articl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JTkLa%2FbtsDY9k2Otj%2F4eTFKZVjIsENyLqaNjnEh0%2Fimg.jpg)
본 카테고리는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강민철 저)" 책과 강의를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명령의 구조와 주소 지정 방식 명령어는 컴퓨터를 움직이게 하는 정보이다. 우리가 짠 코드가 최종적으로 컴파일되어 컴퓨터가 이해하는 기계어로 변환된 것이다. 이때 명령어는 당연하게도 정해진 구조가 있다. 명령어의 구조에 대하 알아보고, 데이터를 어떻게 저장하는지 주소 지정 방식에 대해 알아본다. 명령어의 구조 명령 코드(operation code)와 오퍼랜드(operand)로 구성되어 있다. 명령 코드 : 명령어가 수행할 연산 오퍼랜드 : 연산에 사용할 데이터 또는 여산에 사용할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 무엇을 대상, 무엇을 수행 오퍼랜드 연산에 사용될 데이터 or 연산에 사용될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주..
![articl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3Q5ge%2FbtsDZKqVanQ%2FuUiyaD8224DA33gOz4KPV0%2Fimg.jpg)
본 카테고리는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책과 강의를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저급언어 기계어 : 0과 1로 이루어진 명령어로 구성 (2진수, 16진수) 어셈블리어 : 기계어를 읽기 편한 상태로 번역한 저급언어 0101 0101 → Push rbp 1100 0011 → ret 고급 언어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변환하기 위해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가 필수적으로 요구됨 컴파일 언어 인터프리터 언어 ✓ 컴파일 언어 코드가 실행되기 전 컴파일러를 거쳐서 기계어로 변환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래밍 언어 소스 코드를 전체적으로 컴파일하여 목적 코드(기계어 또는 중간 코드)로 변환 컴파일 과정에서 최적화(주석 제거 등)가 가능하며, 목적 코드는 특정 하드웨어 아키텍처에 최적화되어 실행 C, C++(..
![articl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Zyyql%2FbtsDUfLQMRR%2F08B787QdZOJToOkTvQHD91%2Fimg.jpg)
본 카테고리는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책과 강의를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문자 집합과 인코딩 컴퓨터 어떻게 문자를 이해하는지 알기 위해선 다음 3가지 개념을 알고 있어야 한다. 문자 집합, 인코딩, 디코딩 ▶︎ 문자 집합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문자의 모음 ex ) 아스키 코드, 유니 코드 등 ▶︎ 인코딩 코드화 하는 과정 문자를 0과 1로 이루어진 문자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 ▶︎ 디코딩 코드를 해석하는 과정 0과 1로 표현된 문자 코드를 문자로 변환하는 과정 아스키 코드 초창기 문자 집합 중 하나 알파벳, 아리비아 숫자, 일부 특수 문자 및 제어 문자 표현 7비트로 하나의 문자를 표현 => 128개의 문자 표현 1비트는 오류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패리티 비트 But 한국어, 중국어..
![articl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0TJMz%2FbtsDUelmkbd%2FcGOuCotwqakCzAxGxKpa61%2Fimg.jpg)
본 카테고리는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책과 강의를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정보단위와 워드 ▶︎ 정보단위 비트 : 0과 1을 표현. 가장 작은 정보 단위 1byte 8bit 1kB 1000Byte 1MB 1000kB 1GB 1000MB 1TB 1000GB c.f) 1024개씩 묶은 단위는 따로 있다. kiB, MiB, GiB, ・・・ ▶︎ 워드(word)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크기 단위 2 진수 ▶︎ 표기방법 (2) 첨자를 붙이기 앞에 ob 붙이기 ▶︎ 음수 표현하기 : 2의 보수(가장 대표적 방법) 쉬운 방법 : 모든 0과 1을 뒤집고, 1더한 값 ▶︎ 음수와 양수를 어떻게 구별? 예를 들어 01₂은 -11이기도 하면서 1로 표현 됨 → 보기에는 구별 못한다. 하지만..